저희 아버지가 몇 해 전부터 발바닥에 걸을 때마다 모래 느낌이 난다고 했습니다.
병원에 가셨는데 지간 신경종이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의학에 관련된 지식이 전혀 없기 때문에, 전혀 아버지 말씀에 이해도 공감도 되지 않았습니다.
추석을 맞이하여 부모님 댁에 갈 때 다시 한번 공감을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있는 자료 중 을지대학병원에서 학회에 발표한 논문이 있어서 읽어 보았습니다.
100% 알 수 없겠지만, 한번 읽어보고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제가 모르는 의학 용어는 용어 뒤쪽에 제가 이해한 내용으로 풀어서 기재했습니다.
제가 읽어본 논문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모턴씨 신경종", 양기원, 이홍섭,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17년 제52권 제4호
https://jkoa.org/pdf/10.4055/jkoa.2017.52.4.298
1. 질병 개요
▶ 질병명 : 모턴씨 신경종(morton’s neuroma) 혹은 지간 신경종 (Interdigital neuroma, 이하 지간 신경종으로 표기)
▶ 현상 : 전족부 통증을 흔히 일으키는 질환
▶ 특기 사항 : 족지간(발가락 사이) 신경 주위의 섬유화로 인한 국소 비대로서 진정한 의미의 종양은 아님.
▶ 치료법
- 약물 치료(우선 적용) :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 투여, 저용량 가바펜틴 투여
- 보존적 치료(우선 적용) : 신발 교정, 중족골 패드, 중족골 지지대,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등
- 수술적 치료 : 약물 및 보존적 치료 효과가 없는 경우 신경종 절제술과 신경 감압술(신경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하는 시술)시행
2. 해부학적 및 병리학적 소견과 병인
2.1. 해부학적 소견
▶ 내측 족저 신경 : 후경골 신경의 분지로서 제1~3 족지간 물갈퀴 공간에 공통 족지 신경(common digital nerve)을 분지
▶ 외측 족저 신경 : 제4 족지간 물갈퀴 공간에 제4 공통 족지 신경을 분지
▶ 제4 공통 족지 신경에서 제3 족지간 물갈퀴 공간에 교통 분지(communicating branch)를 내는 경우에는 두 신경이 만나 두꺼워지게 되고 외상이나 압박에 취약해짐
▶ 공통 족지 신경 :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의 바로 원위부에서 고유 족저 족지 신경으로 끝나 족지간 피부의 감각을 담당
▶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 : 천층과 깊은층으로 나뉘는데 깊은층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가 훨씬 더 굵고 단단하며 족지간 신경이 바로 아래를 지나감. 족배부에서 주사 치료를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해부학적 구조물
2.2. 병리학적 소견
▶ 신경의 포착에 의해 신경 주위의 섬유화, 국소 혈관 증식, 신경 내막의 부종, 축삭돌기(신경 세포에서 뻗어 나온 긴 돌기)의 변성이 보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신경종은 아님
2.3 병인
▶ 해부학적 요인 : 상대적으로 좁은 제2, 3 족지간 물갈퀴 공간에서 신경이 포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고 굽이 높은 신발을 신으면 중족 족지 관절의 과신전이 발생하게 되어 신경이 쉽게 포착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음
▶ 외적 요인 : 중족 족지 관절의 불안정성, 족지 변형, 활액낭, 종양 등에 의해서도 신경이 압박.
▶외상성 요인 : 타박상 같은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
3. 임상 양상
▶ 지간 신경종의 흔한 증상은 전족부(발 앞쪽) 족저부(발바닥)에 발생하는 통증으로서 찌릿한, 화끈거리는, 날카로운, 조이는 듯한 양상으로 표현
▶ 발가락으로의 방사통(퍼지는 듯한 통증)이 발생하며 발가락 또는 발바닥에 무감각을 호소
- 꽉 조이는 신발에 의해 증상이 악화되고 실내에서 신발을 벗으면 호전되는 양상.
- 심한 경우 실내에서도 푹신한 신발을 신고 지내는 경우도 있음.
▶주요 질환군 : 중년 여성이며 딱딱한 마루 바닥에서 오랜 시간 활동하는 발레리나에서도 많이 볼 수 있음.
▶한쪽 발에서 대부분 발생. 양발은 약 15%, 한쪽 발에 두 개의 신경종이 발생하는 경우는 약 3% 미만
▶일반적으로 제3 족지간에서 가장 흔하다고 알려짐.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제2 족지간에서도 제3 족지간과 비슷한 정도 또는 더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
4. 진단
4.1. 이학적 검사
- 통증유발검사법
- 중족골 두 사이에 손가락을 대고 다른 손으로 제1 중족골 두와 제5 중족골 두를 옆에서 누르면서 전족부를 압박하면 지간 신경종이 전위되는 탄발음과 함께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이 유발 → 머더 징후(Mulder’s sign)
- 통증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할 때 또는 통증의 원인이 불확실할 때 사용
- 에피네프린이 없는 1% 또는 2% 리도케인 약 1-2 ml를 신경종이 의심되는 족지간 공간에 주사하여 통증의 호전 여부를 검사
4.2. 영상학적 검사
- 4 mm 이상의 지간 신경종을 진단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
- 시술자의 숙련도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
- 연부 조직 대조도가 우수하여 중족골간 활액낭염, 신경종, 염증성 관절염,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중족골 두 무혈성 괴사, 중족 족지 관절 탈구와의 감별진단에 유용
- 비용이 많이 들고, 민감도는 초음파와 유사
- 전족부의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요할 때만 선별적으로 촬영
5. 감별진단
6. 치료
▶ 우선적으로 보존적 방법을 시행하고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수술적 치료로 구분
6.1. 보존적 치료
▶ 일차적인 보존적 치료는 지간 신경종이 신경포착증후군이라는 가설하에 전족부의 신경압박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시도.
▶ 폭이 넓고 부드럽고 굽이 낮은 신발을 신도록 교육.
▶ 중족골두 근위부에 붙이는 중족골 패드나 깔창 같은 보조기를 사용하여 전족부의 압박을 감소시킴.
6.2. 약물적 치료
- 이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항간질성 약물을 투여
- 저용량 가바펜틴 300-600 mg을 최소 3개월 투여하면 환자의 80% 이상에서 통증이 감소되었다는 보고
-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는 다음 단계로 병변내 스테로이드, 국소마취제 또는 알코올 주사 치료를 시도
▶스테로이드 주입법
- 지간 신경종의 약 80%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는 긍정적인 보고됨.
- 장기적으로 호전이 지속된 예는 1예도 없다는 부정적인 연구 사례
- 장점 : 증상 완화가 빠르며, 덜 침습적(체내에 들어가거나 또는 신체의 절개나 관통이 필요한) 치료
- 단점 : 혈관 확장, 피부 변색, 지방 조직 위축 등 → 주 3회 이내 치료
▶알코올 주입법 : 70% 이상의 환자에게서 통증을 감소시키는 만족할 만한 결과가 보고됨.
6.3. 수술적 치료
- 80% 이상의 환자에서 만족한 결과
- 장점 : 종족골 두 사이의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의 족저부에 위치하므로, 족저부 도달법이 접근이 용이하고 신경을 충분히 근위부에서 절단할 수 있음
- 단점 : 수술부위 반흔으로 인한 족저부 통증이 수술 경과를 나쁠 수 있음.
- 대부분의 술자는 족배부 접근법을 선호
- 이환된 지간의 배측으로 원위단에서부터 근위 3cm 상방까지 피부절개를 시행
- 깊은층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를 절개한 후 근위부에서 공통 족지 신경을 확인
- 원위부에서 족지로 이분되는 분지를 확인
- 절제부위는 중족골 골간 인대 3 cm 근위부에서부터 이분되는 부분 원위부까지 절제를 시행
- 절제한 신경 부위에 진성 신경종이 발생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절제 신경의 근위부를 족저 내재근에 묻는 방법을 사용
▶ 신경종 절제술의 후유증 : 절제된 신경의 감각 분포 영역의 무감각이 수술에 대한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
▶ 신경종 절제술의 대안 :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 유리술을 시행하거나 신경박리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도 시도
6.4.재발에 대한 치료
- 절단 근위부의 족저부 유착
- 재발성 신경종 발생
- 1년 이내 재발한 경우는 신경종의 불충분한 절제, 절단 근위부의 유착 등을 고려.
- 1년 이후에 재발한 경우는 절단단의 재발성 신경종 발생을 고려.
▶ 1차 수술 시
- 족배부의 절개창이 작아서 절제가 불충분하였을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족배부의 절개를 연장한 도달법을 시도
- 족배부의 절개창이 충분했다면 족저부 도달법을 시도. 유착이 없는 조직을 통하기 때문에 박리가 쉽고 근위부까지 충분히 도달할 수 있음.
처음 읽어보는 의학 논문이라 용어부터 어려운 것들이 많았는데..
암튼 추석에 가면 아빠 말씀 잘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