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 가격표(9,900원)의 또 다른 의미

SMALL
 9,900원은 진짜 세일 가격인가?

코스트코나 대형 마트를 가게 되면 가격표에 9,900원 또는 19,900원이 표기되어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 가격의 상품을 사는 소비자들은 흔히 말하는 "득템"을 한 것으로 생각하고 기쁜 마음으로 돌아가곤 합니다. 

하지만, 여러 자료를 보면 이런 가격 표기법은 대부분 소비자들에게 불리한 상황을 만들어 줍니다. 

이미지

 자료를 찾아보면서 알았지만, 다니엘 레비라는 경제학 교수께서 발표한 논문을 보면 XX.99(9,900,9endingprice)18XX.99로 끝나는 품목의 가격과 동일 품목의 일반 가격을 비교한 결과입니다. (-) 값은 $XX.99의 가격이 더 높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그래프를 보면 다양한 품목에서 그런 현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9.9910.00와 같은 가격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그런 가격에 소비자들이 현혹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겠지만, 왜 아직도 $9.99가 많이 표기되는 것일까요?  다음 두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가격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게 되는데, 9.999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9.999로 인식하고, $10보다 저렴하다는 인식을 가지게 됩니다.
  2. 소비자들은 기본적으로 가격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래서 9.9910.00보다 훨씬 싼 가격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단순히 $xx.99의 가격이 좋은 거래라 경험적으로 생각하고 소비를 하게 됩니다. 

 

 

 

 

 

 

 

 

 

 

 

 

 

 

 

blob

 위와 같은 심리적 이유로 인해서 많은 가격표에 XX.99..9.00달러인 제품의 가격을 10.009.99로 인상하는 것이 가격은 0.01,.9.00 제품을 그냥 $9.99로 표기를 해도 소비자들은 더 저렴하게 인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흐름을 볼 때 가격표가 1,999,000원으로 붙어있는 TV가 최저가일 가능성은 상당히 낮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1,999,000원의 TV를 싸게 샀다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