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전무패 장기투자(KOSPI, KOSDAQ Ver.)

1. 미국은 장기 투자가 답(?)

아래 그래프는 이전에 작성한 글로 과거 10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단순히 매일 같은 금액을 미국 지수에 투자한다면 오늘 투자한 금액은 2년 뒤에는 반드시 수익을 보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습니다.
또한, 미국 지수 종류에 상관없이 신기하게도 모든 투자금이 수익률이 나는 기간이 2년으로 동일했습니다.
투자쫄보인 저는 퇴직연금계좌에는 미국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꾸준히 매입하고 있습니다.

 

2023.08.20 - [주식/투자 이야기] - 백전무패 장기투자

 

백전무패 장기투자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인가?"를 저는 항상 고민하는 편입니다. 수많은 관련 서적을 보면 어떻게 어떻게 해라라고 많은 조언이 있지만, 실제로 수행하기도 어렵고 어지러운 시장상황

newace77.tistory.com

Pasted image 20231014154742.png

2. 그러면, 한국지수는 ?

퇴직연금에 미국지수상품을 모두 몰빵 하는 것을 위험하다고 생각되어 같은 방식으로 우리나라 주요 지수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확인한 지수는 다음과 같고, 10년간의 데이터를 사용했습니다.

  • KOSPI
  • KOSPI200
  • KOSDAQ
  • KOSDAQ100

각 결산일에 따른 투자금이 수익률이 발생하는 비율이 얼마인지 확인했고, 다음과 같습니다. 즉, 결산일이 한 달이면 매일 투자하고 각각의 투자금이 한 달 뒤에 손익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Pasted image 20231014162612.png

 

Pasted image 20231014163159.png

제가 결과를 본 소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름답지 않은 그래프 모양(우상향이 아님)
  • 정산기간을 1년까지는 수익발생률이 50%에서 큰 변화가 없음.
  • 정산기간이 1년이 지나면서 수익발생률이 올라가는 듯 하지만 3년, 5년으로 설정할 경우 그마저 하향함.
  • 그나마 가장 견조한 지수는 KOSPI 200.
  • 반대로 가장 변동률이 높은 지수는 KOSDAQ 100.
  • 지수투자의 경우 단기 투자(한 달 정도)한다면 지수의 차이가 크지 않음.(수익률은 차이 날 수 있음.)

3. 결론

  1. 한국지수에 대한 백테스팅을 해보았는데, 확실히 미국시장보다 변동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KOSPI200 지수는 그나마 5년이 지나면 투자 시기에 상관없이 모두 수익을 보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3. 분할매수, 장기투자가 모든 시장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4. 저는 퇴직 연금에 10% 정도의 비율로 KOSPI200 지수에 투자해 볼 생각입니다.